정월대보름 대표 음식 5가지 종류와 먹는 이유, 숨은 뜻
정월대보름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 그 해를 계획하고 일 년의 운세를 알아보는 달입니다. 새롭게 시작하고 준비한다는 의미를 지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은 우리나라의 명절 중 하나입니다. 음력 1월 15일로 한 해의 첫 보름이자, 가장 큰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2023년 정월대보름은 2월 5일에 해당됩니다. 정월대보름은 우리나라 명절 중 비중이 큰 날로, 보름달이 가지는 의미는 아주 강했다고 전해집니다. 우리 선조들은 크고 둥근 보름달을 건강과 풍년, 다산의 상징으로 여겼습니다. 정월대보름에는 농사를 지은 곡식 중에 5가지를 넣어서 만든 음식 오곡밥을 만들어먹습니다.
육적, 봉적
삼적 三炙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양념해 꼬챙이에 꿰어 구운 육적, 닭의 모가지와 발을 잘라내고 배를 갈라 기름에 지진 봉적(계적, 숭어,조기, 도미 등을 통째로 소금에 절였다가 구운 어적을 일컫는다. 적틀에 한데 담을 때는 제일 아래에 어적, 그 위에 육적, 가장 위에 봉적을 담는다. 이는 바다, 땅, 하늘의 위치에 따른 것이며, 두부를 크게 저며 노릇노릇하게 지진 소적 素炙을 삼적에 포함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따로 한 접시에 담는다.
약밥(약식)
마지막 정월대보름 대표 음식으로는 약밥이 있습니다. 약식이라고도 불리며 찹쌀을 불려서 대추, 밤, 잣 등의 견과류를 섞어서 쪄낸 음식을 말합니다. 떡과 비슷하며 꿀이 들어가 달콤한 정월대보름의 절식입니다. 옛날 신라시대 때 정월대보름을 까마귀의 날이라 하여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때 절식으로 이 약밥을 사용하면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찹쌀뿐만 아니라 지역마다. 다른 종류의 밥으로도 만들어 이웃들과 같이 나눠먹기도 합니다.
대보름 행사, 놀이
달맞이, 쥐불(횃불)놀이, 과일나무 시집보내기, 용알뜨기, 사자놀이, 줄다리기, 더위팔기 등 풍년과 복을 비는 행사를 많이 했습니다.
설날, 추석 차례상과 제사상 상차림 사진
위 사진은 성균관에서 공개한 추석 차례상 표준안입니다. 차례상 또는 제사상의 상차림 사진에 들어있는 음식의 종류로는 술, 송편, 나물, 구이, 김치, 과일 총 6가지이고 집안에 따라 생선, 육류, 떡이 들어갑니다. 위 사진의 차례상 또는 제사상에 전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는 사계전시에 나온 ”조상들이 기름에 볶은 음식을 쓰지 않는 것”이라는 내용이 나왔다는 성균관의 입장입니다.
제사란?
제사는 돌아가신 분을 기리기 위한 의식을 지내는 것으로 죽은 이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표하는 행위입니다. 집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조상님의 신위를 모시는 위패는 한 개입니다.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정성의 표시로 돈을 많이 들여 차리기보다는 평상시 죽은 이가 즐겨 먹던 음식 또는 가정에서 먹는 반상차림으로 깨끗하게 차려 정성을 다하는 것입니다. 제사상에 올라가는 음식의 차례와는 다르게 밥과 국을 놓습니다(좌 반우 갱).※ 위패란?위패는 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어 그의 혼을 대신한다는 나무 조각입니다.
종이로 만든 신주를 지방이라고 하고 나무로 만든 신주를 위패라고 합니다. 설날 추석 차례상과 제사상 음식 종류
설날, 추석과 같은 명절에 지내는 차례상과 돌아가신 분을 기리기 위한 제사상의 음식은 비슷하고 집안마다. 다른 것이 특징입니다.
세시풍속, 보름달의 의미
한국의 세시풍속은 12개월동안 189건이 있습니다. 정월 한달이 설과 대보름 등이 78건으로 전체의 절반에 가까울 정도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 을 볼 수 있습니다. 그중 대보름날 과 관계된 항목이 40여건으로 정월 전체의 절반을 넘어갑니다. 전체 행사를 보면 1년중 이 대보름 하루가 1/5을 넘는 비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1월 1일은 1년을 시작하는 날로 중요한 날이었지만 달의 움직임을 표준으로 삼는 음력을 사용하는 사회의 첫 보름달은 더 중요하게 생각해 오기도 했습니다. 새해 첫날인 설에는 가정, 가족단위로 이루어졌다면 정월 대보름의 제사는 마을 단위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볼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게 보름달은 큰 의미로 다가오는데요. 정월대보름도 있지만 추석역시 보름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