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상여금 인센티브 퇴직금 포함여부 정리해봅시다

  • 기준

상여금 인센티브 퇴직금 포함여부 정리해봅시다

직장 생활을 하고 계신 분이라면 한번쯤 받아봤거나 받게 될 것입니다. 주는대로 받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알고 받아야 하는 퇴직금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퇴직금이란? 퇴직금은 문자 그대로 근로자가 다니던 직장을 그만 두었을 때 사용자로부터 받는 급여다. 한국법에서는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약칭 퇴직급여보장법으로 이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직장으로부터 퇴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노동자는 한주의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상태로 1년 이상 근로한 사람입니다.

법적으로 근로기간이 만 1년이 되어야 받을 수 있기 때무에, 만 1년이 되지 않는 자는 받을 수 없습니다.. 만약에 금융펀드형 퇴직금제도확정기여형 퇴직금를 실시하는 회사라서 일정한 금액의 퇴직금이 축적되었다고 하더라도, 근로자가 1년 미만의 기간에 퇴직하게 될 경우 이 금액은 전액 사용자회사에게 귀속됩니다.


imgCaption0
퇴직금 계산기 사용 방법

퇴직금 계산기 사용 방법

퇴직금 계산기를 제공하는 여러 사이트가 있지만, 고용 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신뢰도가 높습니다. 기본적으로 퇴직금은 퇴직금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 로 계산이 됩니다. 1일 평균임금은 퇴직일 이전 3개월간 지급받은 임금 총액퇴직일 이전 3개월간의 총 일수 위의 퇴직금 계산기에 들어가서 입사일자와 퇴직일자를 기재해주시고 평균임금계산 기간보기를 클릭해줍니다.

예시를 위해, 1년간 근무했다고 계산해보시면 재직일수는 366일이 됩니다. 그러면 퇴직이 다가올 2024년 10월,11월,12월 총 3개월간 각 받은 기본급을 기재하고, 기타수당에는 야근수당이나 특근수당과 같이 해당 월에 받았던 수당을 기재해줍니다.

상여금 인센티브 퇴직금 포함여부 진지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상여금, 인센티브에 따라 다르다! 입니다. ㅠㅠ 상여금의 지급기준조건, 시기, 금액 등이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서 사전에 정하고 있고, 계속적, 주기적으로 지급되어 왔다면 퇴직금 산정시 포함해서 계산합니다. 반면에 1년에 한번 등 비주기적으로 경영성과 결과에 따라 대표의 판단하에 유동적, 1회적으로 지급되는 경영관리 측면 성과금 등의 경우 퇴직금 산정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좀 더 철저히 구분지어 보겠습니다.

특수하고 일시적 아니면 우연한 사정에 의하여 생겨나는 성과급의 경우

일반적인 예로 운영 성과급이 있습니다. 회사가 영업이 잘 되어 매출이 높다면 줄수도 있고 성과가 낮거나 다른 여느 이유 때문에 회사가 성과급을 안주거나 적게 줄수도 있는경우 쉽게 말해 내가 요즘 성과급을 받을수 있을지 없을지, 얼마나 받을수 있을지 모르는 경우라면 이는 평균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최근에도 계속되고 있는 소송들이 많은데 판례는 지속적으로 분명한 사례에서 경영관리 측면 성과급에 관련해서 평균임금성을 부정하고 있습니다.

성과급에 대한 개념

위 연봉 이외에 별도 성과급이 있는 회사가 있습니다. 보통 인센티브 라는 용어도 섞어서 사용하는데요. 성과급은 최초 연봉계약할 때 포함되지 않는 금액으로, 개인이 성과를 냈을 때 회사에서 주는 추가보너스 입니다. 회사가 매출이익을 많이 내거나, 특정 결과를 내는 팀에게 독려차원에서 회사에서 지급되는 금액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이 상여금과 성과급을 햇갈리는데요.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상여금을 성과급 형태로 지급했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혼동하지 않고, 성과급은 연봉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금액이다 라는 점만 기억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근로의 대가로 일정 기준에 따라 계속적, 주기적으로 지급되는 경우

기본급 200 + 성과급 같이 임금체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 성과급이 개인의 근로에 대한 대가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차량 한대를 판매하면 그것의 얼마, 목표달성시 얼마 등을 볼 수 있겠죠. 아니면 아예 사무직의 경우 기본급과 성과급으로 명칭만 구분했을뿐 별의미없이 매달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도 존재합니다. 위의 예시들은 모두 계속적 주기적으로 지급되고, 회사에 지급 의무가 있는 성과급입니다.

퇴직금 세금

계산된 퇴직금을 모두 받을 수 있으면 좋겠지만 퇴직금에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그래서 퇴직금을 지급받을 때에는 소속기관이나 사업자가 원천세를 미리 공제하고 지급합니다. 퇴직금 기본 세율은 6 42로 과세표준에 따른 누진공제가 들어갑니다. 단 2022년 퇴직금 세금 규정이 개정되었는데요 근속 연수별 공제금액이 올라가면서 퇴직금 세금도 줄어드는 계획을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퇴직금이 5,000만 원 이면 92만 원 정도가 세금으로 나가는데 근속연수가 올라가면 과세표준이 줄어들면서 세금 역시 줄어드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것입니다.

또한 5천만 원 미만의 퇴직금에는 과세를 하지 않는다는 법안도 추진 중이니 퇴직금에 대한 내용을 계속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퇴직금 계산기 사용 방법

퇴직금 계산기를 제공하는 여러 사이트가 있지만, 고용 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신뢰도가 높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여금 인센티브 퇴직금 포함여부 진지하게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상여금, 인센티브에 따라 크게 다르다 입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특수하고 일시적 아니면 우연한 사정에 의하여 생겨나는 성과급의

일반적인 예로 운영 성과급이 있습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