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인증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 다른점
민간인증서는 공인인증서나 금융인증서와 달리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간이 아닌 민간업체에서 발급하는 인증서입니다. 민간인증서는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사이트, 게임 등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민간인증서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민간인증서의 차이를 세부적으로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4 민간인증서
민간 인증서는 카카오나 네이버, 이동통신 3사, 페이코, 각 은행 앱처럼 민간기관이 사용자의 신분을 인증하는 사이버 신분증입니다. 민간인증서를 만들기 위해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유효기간이 비교적 길고 외부 클라우드에 보관되어 있어 사용하기가 편리합니다. 카카오로부터 받은 카카오 인증서의 예입니다. 민간 인증서를 만들면 각각의 인증 기관 클라우드에 보대하여 두고 필요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사용합니다.
카카오 인증서를 만들고 이를 활용해서 주민등록등본을 발부하는 방법은 제 블로그의 글을 참고하십시오. 민간 인증서는 2개정도 만들어 두는 것이 편리합니다. 예측하지 못한 사유로 하나의 민간인증서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다른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다면 당황하지 않게됩니다. 저는 카카오 인증서 외에 네이버 인증서도 발부했습니다.
1 공동인증서
예전에 쓰던 공인인증서입니다. 민간인증서가 도입되며 공인인증서에 부여된 독점적 지위가 소멸되어 공인이 공동이란 명칭으로 바뀌었습니다. PC, 휴대폰, USB 등 희망하는 여러가지 저장소에 담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인증서를 다른 장치로 내보내놓거나 복사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에 가입한 개인이나 법인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고, 은행, 쇼핑, 보험업무 볼 때, 공공기관에서, 민원서류 발급 시 등 여러 곳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는 각 은행 인증센터에서 발급받으면 됩니다.
다만, 유효기간이 1년이어서 매년 한 번씩 갱신을 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PC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영문숫자특수문자를 포함해 암호 10자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공동인증서의 단점은 비밀번호가 10자리 이상으로 길고 인증서를 1년마다. 갱신해야 되며 인증서가 개인 기기에 물리적으로 저장되다. 보니 다른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사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업체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그러나 보안프로그램이 그렇게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휴대폰이나 PC에 부하를 주고 또한 먹통으로 만들어 버리기도 하며 일부업체 프로그램은 삭제도 간단하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금융인증서는 무엇인가요?
금융인증서는 2020년 12월 10일부터 시작된 인증서비스입니다. 금융인증서는 컴퓨터 하드드라이브나 USB가 아닌 인터넷 클라우드에 인증 정보가 저장됩니다. 따라서 다른 프로그램 설치 없이 SMS 인증과 6자리 숫자로 된 비밀번호로 인증하고, 여러가지 기기나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 공동인증서를 폐기하지 않아도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 가지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금융인증서 발급 과정은 어떠한 방식으로 되나요?
1. 본인의 계좌정보, 보안매체 정보보안카드, OTP, 모바일인증서, 전화번호 정보ARSSMS를 이용하여 본인 확인을 합니다. 2. 이름, 휴대폰번호, 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 3. 스마트폰 문자로 확인코드가 오면, 수신된 번호로 금융인증서비스 화면에 나타난 SMS 확인코드 2자리를 다시 입력하여 회신 합니다. 이 때 본인 명의로 개통된 휴대폰이 아니어도 인증 가능합니다. 4. 금융인증서 전자서명시 이용할 6자리 숫자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5. 발급이 완료되면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할 금융인증서를 선택하고 6자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합니다. 모바일 기기의 기능에 따라 지문인식, 홍채인식, 패턴인식도 가능합니다.
민간인증서는 무엇인가요?
민간인증서는 민간 서비스 플랫폼의 클라우드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보안기술을 도입 하여 통신사나 플랫폼 사업자 등이 발급하는 인증서입니다.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 하지 않아도 되고, 간편 비밀번호를 사용하며, 모바일기기의 생체인증으로 인증이 가능합니다. 기존의 공인인증서 체제가 개편되며 여러 민간인증서들이 더욱 활동적이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카카오인증, 금융결제원의 뱅크사인,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인증, 통신사의 패스, 네이버의 네이버인증, KB국민은행의 KB모바일인증서, NHN 의 페이코인증, 삼성전자의 삼성패스 등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인증서의 사용 목적에 맞추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4 민간인증서
민간 인증서는 카카오나 네이버, 이동통신 3사, 페이코, 각 은행 앱처럼 민간기관이 사용자의 신분을 인증하는 사이버 신분증입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1 공동인증서
예전에 쓰던 공인인증서입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
금융인증서는 무엇인가요?
금융인증서는 2020년 12월 10일부터 시작된 인증서비스입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